반응형

아기 물병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성입니다. 하지만 시중에 다양한 소재의 물병들이 나와있어서 고민이 많아지는데요. 특히 미세 플라스틱과 환경 호르몬에 대한 걱정이 커지면서, 어떤 소재가 안전한 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오늘은 PP, PET, 트라이탄, PPSU, 스테인리스, 유리 등 대표적인 물병 소재를 비교해서 정리해볼게요!
목차
1. PP (폴리프로필렌)
- 장점: 가볍고 저렴하며, 내열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함
- 단점: 투명도가 낮고 내구성이 약함
- 내열 온도: 약 100℃
- 식기세척기 사용: 가능
- 미세 플라스틱 위험: 긁힘 발생 시 미세 플라스틱 발생 가능
- 안전한 사용 기간: 6개월~1년 (긁힘이 생기면 즉시 교체 추천)
2.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 장점: 투명도가 높고 가볍고 저렴함
- 단점: 내열성이 낮고 반복 사용 시 내구성이 약함
- 내열 온도: 약 60~70℃
- 식기세척기 사용: 불가능
- 미세 플라스틱 위험: 반복 사용 시 미세 플라스틱 및 화학물질 용출 위험
- 안전한 사용 기간: 일회용 사용 권장
3. 트라이탄
- 장점: 유리처럼 투명하면서도 내열성이 우수, 환경호르몬 걱정 없음 (BPA Free)
- 단점: 가격이 다소 높음
- 내열 온도: 100~110℃
- 식기세척기 사용: 가능
- 미세 플라스틱 위험: 안전한 편
- 안전한 사용 기간: 1~2년
4. PPSU (폴리페닐설폰)
- 장점: 내열성이 뛰어나며(180℃ 이상), 의료용으로도 사용될 정도로 안전함
- 단점: 가격이 다소 비쌈
- 내열 온도: 180℃ 이상
- 식기세척기 사용: 가능
- 미세 플라스틱 위험: 안전한 편
- 안전한 사용 기간: 1~2년
5. 스테인리스
- 장점: 내구성이 강하고 환경호르몬 걱정 없음
- 단점: 무겁고 디자인이 제한적, 뜨거운 음료를 넣을 경우 화상 위험
- 내열 온도: 100℃ 이상
- 식기세척기 사용: 가능
- 미세 플라스틱 위험: 없음
- 안전한 사용 기간: 반영구적 (내부 코팅 여부 확인 필수)
6. 유리
- 장점: 내화학성과 내구성이 강하며 환경호르몬 걱정 없음
- 단점: 깨질 위험이 있고 무거움
- 내열 온도: 100℃ 이상
- 식기세척기 사용: 가능
- 미세 플라스틱 위험: 없음
- 안전한 사용 기간: 반영구적 (깨지지 않는 한)
아기 물병 소재 선택 꿀팁!
- 가벼우면서 안전한 소재를 원한다면? 트라이탄, PPSU
- 저렴한 제품을 원한다면? PP
- 투명하면서 내구성도 중요한 경우? 트라이탄
- 내열성이 가장 뛰어난 소재를 원한다면? PPSU
- 환경호르몬 걱정 없이 사용하고 싶다면? 유리, 스테인리스
어린이집, 유치원에 보낼 물병 선택!
저는 찌아 쭈니의 물병으로 트라이탄 소재의 물병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트라이탄 소재로 고른 이유는 아래와 같은데요!
- 기관에 보내서 아이가 사용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가벼워야 함.
- 식기세척기 사용이 가능해야 함(내열성이 좋아야 함).
안전한 트라이탄 물병 사용 팁
- 주기적인 교체 (1-2년)
- 식기세척기 사용 시 저온으로 짧게 세척하기
오늘은 물병 소재에 대해 정리해 보았는데요. 제 포스팅이 새 학기 아기 물병 선택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반응형
'연년생 남매랑♡ > 육아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장염 회복 식단! 먹어도 되는 음식과 피해야 하는 음식 (0) | 2025.03.04 |
---|---|
설사, 구토하는 아기, 응급실 가야 할까? 아이 장염 대처법 정리! (0) | 2025.02.27 |
아이 장염 증상 기록법, 병원에서 유용한 시간대별 정리 팁 (0) | 2025.02.26 |
2025 복지로 유아학비 사전신청, 어린이집에서 유치원 가는 경우 2월까지 신청 필수! (0) | 2025.02.25 |
맞벌이 부부의 14개월 차이 연년생 육아 꿀팁 공유 (조부모 도움 X) (0) | 2025.02.04 |
두 돌 아기 대학 병원 안과 예약 및 진료 후기 (근시, 난시, 하안검내반 +약시 의심) (0) | 2024.11.22 |
소아 근시, 난시, 약시 알아보기! 소아 안과 검진은 언제부터? (0) | 2024.11.13 |
소아 안과 검진 필수: 티비를 째려보는 아기, 사물을 가까이에서 보는 아기 (0) | 2024.11.12 |